사자성어 당랑거철 螳螂拒轍 은
사마귀가 앞발을 들고
수레바퀴와 대적하려 했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
스스로의 역량을 고려치 않고
되지 않을 일이나 이기지 못할 상대에게 덤벼드는
무모한 허세의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장자의 천지편 天地篇 , 한시외전 韓詩外傳 ,
문선 文選 , 회남자 淮南子 , 인간훈편 人間訓篇 등
여러 문헌에 나오는 말로
당랑당거철 螳螂當車轍 ,
당랑지부 螳螂之斧 , 당랑지력 螳螂之力
모두 같은 의미로 인용된다.
고사성어 유래의 사연은 이렇다.
춘추시대 제나라에 장공이라는 사람이
어느 날 수레를 타고 사냥터로 가던 중,
웬 벌레 한 마리가 앞발을 들고
수레를 향해 달려드는 것을 보고 기이해
마부에게 물었다.
“ 저것은 무슨 벌레인가? ”
“ 저것은 사마귀라는 벌레이온데
나아갈 줄만 알지 물러설 줄은 모릅니다.
제 힘은 생각지도 않고 적을 가볍게 보는 버릇이 있습니다. ”
장공은 마부에게 수레의 방향을 돌려
사마귀를 피해 가자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만약 이 벌레가 사람이었다면,
용맹한 장군이 되었을 것이다. ”
절지동물, 사마귓과의 곤충
사마귀 praying mantis 는
흔히 버마재비라 불린다.
사마귀, 버마재비 모두 표준어이다.
‘사마귀’ 라는 말에는
닥치는대로 다른 벌레를 잡아먹는 무서운 놈이라 하여
‘사악한 마귀’ 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고
‘버마재비’ 라는 말에는
‘무서운 범(호랑이) 닮은 아재비(아저씨)’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사마귀는 먹을 것이 부족하면 사정없이
동족포식을 감행하는 잔인하고 모진 곤충이다.
수컷보다 덩치가 큰 암컷 사마귀는
교미하기 위해 암컷의 등에 올라탄 작은 수컷을
‘성적 동족포식 Sexual Cannibalism’
야멸차게 잡아먹기도 한다.
사마귀는 ‘오줌싸개’ 로도 불리는데
사마귀가 사람의 손등에 오줌을 싸면
그 자리에 사마귀(도도록한 군살)가 생기고,
손등에 생긴 사마귀를 곤충 사마귀가 뜯어먹게 하면
손등의 사마귀가 낫는다고 하여 그리 불렸다고 한다.
당랑거철의 사마귀는 무모하다.
사마귀가 어찌 수레를 이기겠는가.
장공은 가소로운 사마귀 따위
수레바퀴로 짓밟아버릴 수도 있었다.
사자성어 당랑거철의 교훈은
대적할 대상을 누구로 정하느냐에 달려있다.
무모의 용맹을 발휘할 대상은
타인이 아니라 본인이 되어야 한다.
스스로를 이기지 못한 사람이 어떻게
자기 자신을 이긴 사람과 대적할 수 있겠는가.
무모하게 타인과 싸우기 전에
나 자신과 싸워서 이기는 것.
그것이 당랑거철의 교훈이라고
사자소통(네 글자로 끝내라)의 저자
이남훈 선생님은 알려준다.
'고사성어+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수유옥 - 莫須有獄 (0) | 2024.11.19 |
---|---|
기화가거 - 奇貨可居 (2) | 2024.11.14 |
원교근공 - 遠交近攻 (3) | 2024.11.10 |
화광동진 - 和光同塵 (1) | 2024.10.15 |
독서백편의자현 - 讀書百遍義自見 (0) | 2024.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