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빌딩이 지어진다.그 자리에 있던 헌 빌딩은 어디로 갔을까? 그 많던 건축물들은 사라진 후 어디에서 무엇이 되어 있을까? 코로나 19 이후, 배달 서비스 활황으로생활쓰레기에 대한 심각성은 우리 모두 실감하고 있다. 그런데 플라스틱, 비닐 등의 생활쓰레기보다훨씬 심각한 것은 건축 쓰레기다. 행정용어로는 ‘건설폐기물’ 이다. 우리 나라 건축물의 수명은 약 24년,다른 나라에 비해 짧은 수명이다.하여, 전국에서 건설 쓰레기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건설 쓰레기의 재활용률은 98%에 이르지만발생량이 워낙 방대하다 보니 매립되는 나머지 2%가 결코 적은 양이 아니다. 건설 쓰레기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일까? 바로, 오래 쓰는 것이다. 오래 쓰기 위한 방편으로,건축물을 허물지 않고 필요에 맞게 재..
지구를 걱정하다
2024. 8. 7. 20:3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카슈미르분쟁
- 조앤 윌리엄스
- 공공대출권
- 최승자
- 최승자 시집
- ebs 위대한 수업
- 브라이언 클라스
-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 장 면역력
- 라이너 마리아 릴케
- 친위 쿠데타
- 이성복
- 장자
- 핵보유국갈등
- 성실신고 확인 대상
- 유시민 칼럼
- 금요미식회
- 유시민
- 노행남 부장판사
- 겸공 금요미식회
- 시민언론 민들레
- 오블완
- 공대권
- 황동규
- 대법관 비판 전문
- 이준석
- 티스토리챌린지
- 인도파키스탄관계
- 2025콘클라베
- 민들레 언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