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재천 생명다양성재단 이사장은붉은등우단털파리, 러브버그 대발생을 두고박멸 말고 참아주기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2년 러브버그 대발생 이래서울 은평구 봉산 주위로 같은 현상이 재현되고 있다.러브버그 애벌레는 죽은 나무와 낙엽을 분해하고성충이 되면 꽃의 수정을 도와 열매를 맺게 하며쏘지도 물지도 않는 무해한 생명체인데어떻게 죽일지에만 집중되고 있는 방역 여론은우리에게 어떤 미래를 가져올까 한겨레와의 인터뷰 전문을 그대로 옮겨본다. 우리가 생태에 대해 좀더 공부해야 한다는 생각도 듭니다. 응답하라 1988> 드라마에 잘못 만든 부분이 하나 있어요. 그 시절 바깥에서 돗자리 깔고 잤던 건 맞아요. 그때 우리는 곤충들이 가로등에 부딪히는 소리를 듣고 컸어요. 지금은 서울 시내 ..
지구를 걱정하다
2024. 7. 15. 19:5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공공대출권
- 장자
- 오블완
- 최승자 시집
- a형독감 b형독감 차이점
- 겸공 금요미식회
- 티스토리챌린지
- 자유우파라는 이름의 망상의 공동체
- 시민언론 민들레
- 이성복
- 2025 정월대보름 날짜
- 금요미식회
- 라이너 마리아 릴케
- 언론이 퍼뜨리는 정치적 독극물
- 이준석
- 유시민
- 오곡밥의 효능
- 브라이언 클라스
- 조앤 윌리엄스
- famous blue raincoat 가사
- 공대권
- 장 면역력
- 최승자
- ebs 위대한 수업
- 친위 쿠데타
-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 잠민전
- 유시민 칼럼
- 황동규
- 민들레 언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