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삭족적리 削足适履 는 발을 깍아서 신에 맞춘다는 뜻으로,일의 본말 本末 과 주객 主客이 뒤바뀌거나불합리한 방법을 억지로 적용함을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먼저 결론을 내려놓고요식행위로 끼워 맞추는 독단을일삼을 때 쓰이는 말이다. 삭족적리 削足适履 는회남자 淮南子 제17권 설림훈 說林訓 에서유래한 말이다. 신발을 사기 위해 신발가게를 찾은한 남자가 있다.신발가게 주인이 한 켤레 내어준 신은남자의 발보다 작았다.어리석은 남자는 더 큰 신발을 찾지 않고자신의 발을 자르려고 했다.이 어리석은 남자는 모자를 사러 가서도작은 모자에 맞도록 자신의 두상을깍아 내려고 했다. 삭족적리는 원칙적이고 합리적이지 못한 방법을억지로 적용하려 드는 어리석음을 꼬집고 있다. 회남자 淮南子 는중국 전한 前漢 의 회남왕 淮南王유안 ..
고사성어+한시
2024. 9. 15. 19:5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금요미식회
- 티스토리챌린지
- 잠민전
- 황동규
-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 공대권
- 시민언론 민들레
- 유시민 칼럼
- 브라이언 클라스
- 이성복
- a형독감 b형독감 차이점
- 조앤 윌리엄스
- 2025 정월대보름 날짜
- 자유우파라는 이름의 망상의 공동체
- 오블완
- ebs 위대한 수업
- 민들레 언론
- 겸공 금요미식회
- 언론이 퍼뜨리는 정치적 독극물
- 장자
- 라이너 마리아 릴케
- 친위 쿠데타
- 최승자
- 이준석
- 유시민
- 장 면역력
- famous blue raincoat 가사
- 최승자 시집
- 오곡밥의 효능
- 공공대출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