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허쉬입니다.
12월 21일 동짓날까지 얼마 남지 남았기에 우리는 왜 동짓날에 팥죽을 쑤어 먹게 되었는지에 대해 포스팅해 보려 합니다.
소싯적에 할머니가 매년 동지때마다 끓여주시던 팥죽이 무척이나 그리워지는 요즘이에요.
훗날 이처럼 그리워하게 될 줄 모르고 철없던 어린 시절엔 팥죽 안 먹겠다고 떼를 쓰곤 했었는데 나이 탓인지 어떨땐 눈물이 맺힐 만큼 그 시절이 그리워지곤 합니다.
곧, 동짓날이니 잊지 말고 꼭 챙겨드시길 바랍니다.
동지는 무슨날일까요?
24절기 중 하나인 동지 冬至 는 밤이 가장 긴 날로 조선시대에는 동지를 작은 설, 아세 亞歲 라고도 불렀습니다. 동지는 날이 차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하여 ‘호랑이장가가는날’ 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작금의 동지는 우리에게 명절도 아니고 그저 귀신이 싫어하는 붉은색 팥죽 한 그릇으로 액운을 물리치는 날, 맛있는 팥죽한 그릇을 먹는 날일 뿐입니다.
동짓날, 팥죽을 먹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동짓날 팥죽을 먹게 된 유래는 여러 해석이 분분하지만 새해 소원을 비는 음식이라는 해석이 유력합니다. 우리가 설날에 떡국을 끓여먹듯, 동지엔 팥죽을 쑤어 먹은것이지요. 동지를 아세 亞歲 라고도 했는데 작은 설이라는 의미입니다. 실제 고대에는 음력 11월이 한 해의 시작이었고 동짓날이 새해의 첫날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에게는 “동지 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먹는다” 는 속담도 있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경사스러운 일이 있거나 재앙이 있을 때 팥죽, 팥밥, 팥떡을 해 먹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전염병, 즉 역병이 돌 때 우물에 팥을 넣으면 물이 맑아지고 질병이 없어진다고 믿었고 사람이 죽었을 때 악귀를 쫓기 위하여 팥죽을 쒀 상가 喪家 에 보내는 관습이 있었고 사업이 번성하기를 바라거나 건축물이 잘 완공되기를 바라는 등의 고사를 지낼 때에도 팥떡을 만들어 고사를 지내곤 했습니다.
동짓날, 팥죽을 먹게 된 유래를 알려면 약 1500년 전의 중국 신화를 좀 더 살펴보아야 하는데요.
중국 육조 시대의 후베이 湖北 지방과 후난 湖南 지방의 연중 행사와 풍속을 기록한 책, 형초세시기 荊楚歲時記 에는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공공씨 共工氏 에게 재주 없는 아들이 있었는데 동짓날 죽어 역귀(역질귀신)가 됐다.
공공씨의 아들은 붉은 팥을 무서워했기 때문에 동지에 붉은 팥죽을 쑤어 그를 물리치는 것이다.
이 말에 담긴 의미를 풀어보면 동지에 팥죽을 먹는 일이 얼마나 합리적이고 과학적이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옛날 황하를 다스리는 전설적 존재, 공공씨에게는 바보 아들이 하나 있었습니다. 동짓날 그 아들이 죽어 귀신이 되었는데 보통의 귀신이 아니라 전염병을 퍼뜨리는 역귀 疫鬼 가 되어버렸죠.
이 신화를 현대식으로 재해석한 것을 찾아보면, 황하에 큰 홍수가 나서 강물이 범람한 것은 황하 강물을 다스리는 신 공공씨가 심술을 부린 탓이었고 공공씨의 아들이 죽어 전염병을 퍼뜨리는 역귀가 된 것은 홍수로 인해 수인성 전염병이 널리 퍼진것을 일컫는 것이 아닌가 해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공공씨의 아들은 왜 팥을 무서워했을까요? 이 말은 수인성 전염병에 걸린 옛 사람들이 뜨거운 팥죽을 끓여 먹고 영양을 보충해 병을 이겨냈다는 의미로 해석이 된다고 합니다. 먹을거리가 변변찮았던 옛 시절에는 팥이 겨울을 이겨내는 데 훌륭한 음식이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당나라 때 간행된 ‘초학기’ 에서도 동짓날 뜨거운 팥죽을 쑤어 먹으면 소화가 잘 되고 양의 기운을 보충할 수 있어 몸에 이롭다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추운 겨울날 따뜻한 팥죽 한 그릇 먹으면 영양도 충분히 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얼었던 속까지 녹여 추위도 꺽어주니 전염병 예방과 치료에 더할 나위 없이 좋았을 것입니다. 조선시대에도 동짓날이면 굶주린 사람들을 모아 팥죽을 쑤어 먹였다고 하니 헐벗고 배고픈 백성들에게 팥죽 한 그릇은 보약과 같은 효력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팥은 피부가 붉게 붓고 열이 나고 쑤시고 아픈 단독에 특효가 있으며, 젖을 잘 나오게 하고 설사, 해열, 유종, 각기, 종기, 임질, 산전산후통, 수종, 진통에도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짓날 관련, 재밌는 우리 속담
① 동지 때 개딸기
속담 동지 때 개딸기는 얻기 어려운 것을 바라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
동지는 양력으로 12월 중순 무렵으로 한겨울입니다. 요즘은 비닐하우스 재배로 한겨울에도 딸기를 먹을 수 있지만 옛날 옛날 과거엔 산딸기든 개딸기든 있을 리가 없죠. 게다가 산딸기와 달리 개딸기는 먹을 수도 없습니다. 이 속담에는 먹지 못하는 개딸기라도 있었으면 좋겠다는 간절한 바람이 함축되어 있습니다. 비슷한 속담으로 “동지에 개딸기 찾는다” , “동짓달에 멍석딸기 찾는다” 등이 있고 비슷한 의미로 쓰이는 속담으로는 “우물에서 숭늉 찾는다” 가 있습니다.
② 새알 수제비 든 동지팥죽이다
매우 맛있거나 별미인 음식을 가리킬 때, 또는 맛있는 음식이나 일이 제대로 갖추어진 상태를 의미하는 속담입니다.
우리나라에는 동지팥죽에 대한 다른 전설이 있습니다. 옛날 옛적, 마을에 상사 가 나면 상가집에 들어가서 준비해둔 음식을 모두 먹어치워버리는 몹시 우둔하고 몰염치한 대감이 있었는데 마을사람들은 큰 골칫거리로 여겼어요.
③ 오뉴월 배 양반이요, 동지섣달은 뱃놈
겨울에는 뱃사공 노릇이 고생스러움을 이르는 속담입니다.
강 위에 배를 띄워 사람과 짐을 날라주는 뱃사공은 여름철에는 물 위에서 더운 줄 모르고 지내므로 오뉴월 뱃사공은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일하기 때문에 양반놀음이나 다름없지만, 겨울에는 차가운 바람과 날씨로 고생한다는 뜻이에요.
④ 동지가 지나면 푸성귀도 새 마음 든다
동지가 지나면 온 세상이 새해를 맞을 준비에 들어간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속담입니다.
동지는 태양이 황도의 가장 낮은 점을 지나는 시기로 북반구에서는 연중 밤이 가장 긴 날입니다. 이 날을 기점으로 남쪽으로 내려갔던 태양이 다시 올라와 낮이 길어지므로 옛 사람들은 양 陽 의 기운이 시작되는 날이라고 믿었습니다. 하여 이듬해가 시작되는 날이라는 의미로 아세 亞歲 라고도 했습니다. 민간에서는 이 날을 작은 설로 여겨 동지팥죽을 쑤어 먹고 문에 뿌려 악귀를 막았고 이런 까닭으로 동지가 지나면 몸을 움츠렸던 각종 푸성귀들도 다가올 봄을 향해 새롭게 태어나기 위한 마음을 가다듬기 시작한다고 여겼습니다. 동지는 사람을 포함한 자연이 새해를 맞이할 몸가짐, 마음가짐을 새롭게 다지는 날이었습니다.
⑤ 동지 지나 열흘이면 해가 노루꼬리만큼씩 길어진다
동지가 지나면 밤이 조금씩 짧아지고 낮이 조금씩 길어진다는 의미의 속담입니다.
동지는 24절기 가운데 스물두 번째 절기로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깁니다.노루꼬리는 흔적만 남아 있기에 관용어로 흔히, 매우 짧다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노루꼬리에 빗대어 동지 이후 낮이 조금씩 길어지는 것을 표현한 재밌는 속담입니다. 비슷한 속담으로는 “동지 지나 열흘이면 해가 소 누울 자리만큼 길어진다.” 가 있습니다.
⑥ 배꼽은 작아도 동지팥죽은 잘 먹는다
얼핏 보면 변변찮은 사람으로 보이나 그 사람이 처리하는 일이 녹록지 않다는 의미의 속담입니다.
배꼽이 작다는 것은 배가 작다는 의미로 음식을 많이 먹지 못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많이 먹지 못할 것 같은 사람이 의외로 동지팥죽을 잘 먹는다는 말로, 이 속담은 별 볼일 없을것 같아 보이는 겉모습과 달리 행하는 일이 평범하지 않음을 가리킵니다. 평범해 보였던 어떤 이의 행동이 예상외로 뛰어날 때 주로 사용합니다.
또한 이 속담은 맛있는 동지팥죽은 배꼽이 작아도 누구나 많이 먹게 된다는 의미로 쓰이기도 합니다.
⑦ 범이 불알을 동지에 얼구고 입춘에 녹인다
동지 무렵에 매서운 겨울 추위가 시작되어 입춘 무렵에 누그러지는 것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속담입니다.
동짓날이 매섭게 추워야 풍년이 든다는 속신이 있듯 동지가 되면 제대로 추웠고 또 추워야만 한다는 기대도 있었습니다. 겨울잠을 자지 않고 겨울을 나는 동물들의 몸도 꽁꽁 얼게 마련인데 동물 가운데 용맹이 으뜸이고 화기 火氣 나 양기 陽氣 를 상징하는 범의 불알도 예외는 없었습니다. 민중들의 이러한 경험과 관념을 바탕으로 범의 불알이 얼고 녹는다는 해학적 상상력의 표현이 담겨있는 속담입니다.
⑧ 동지섣달 해는 노루꼬리만 하다
동지섣달의 해는 노루꼬리처럼 짧아서 일할 시간이 없다는 의미의 속담입니다.
잘 놀라고 먼 데를 바라보는 버릇이 있고 뛰기를 잘 하는 노루는 몸체에 비해 꼬리가 매우 짧아서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꼬리의 흔적만 남아 있는 셈이다. 호랑이가 노루꼬리를 문 채 뛰다가 싹둑 끊어져 버리는 바람에 꼬리가 짧아졌다는 ‘노루꼬리가 짧아진 까닭’이란 옛 구전 설화가 전해 내려옵니다. 이 속담은 해의 길이를 노루꼬리에 빗대어 동지섣달에는 낮의 길이가 매우 짧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⑨ 동지섣달 긴긴밤에 임 없이는 살아도, 삼사월 긴긴해에 점심 없이는 못 산다
동지 섣달의 긴 밤을 홀로 보내는 독수공방의 외로움보다 춘궁기 삼사월의 배곯는 고달픔이 더 절박하고 심각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속담입니다.
동지 섣달은 일년 중 밤이 제일 긴 때이므로, 홀로 지내는 사람이면 남자이건 여자이건 외로움이 크지만 이겨낼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춘궁기인 삼사월에는 낮 시간이 길어져 굶으며 날을 보낸다는 것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여간한 고통이 아닙니다. 점심도 거른 채 고된 일을 하다 보면 허리가 휘어지고 힘이 달려 견딜 수가 없음을 표현한 속담입니다.
⑩ 동지섣달에는 닭서리다
예전 농촌에는 계절마다 다른 서리를 하였는데 11월과 12월에는 닭서리를 많이 하였기에 생겨난 속담입니다.
서리는 옛 농촌 풍속의 하나로 무리를 지어 남의 채소나 과일, 가축 등을 훔쳐 먹는 일종의 장난을 일컫습니다. 서리는 도둑질과 달리 주인에게 큰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고 어디까지나 재미삼아 하는 장난이기에 도둑질과는 다릅니다. 서리의 대상이나 시기는 지방에 따라 다소 다른데 오뉴월에는 밀, 육칠월에는 참외, 칠팔월에는 콩, 복숭아, 수박, 팔구월에는 포도, 대추, 구시월에는 무, 감 그리고 동지 섣달에는 닭을 서리하곤 했습니다.
닭서리는 주로 중장년층에서 궁핍한 시절 행해졌던 일종의 도둑질이었지만 서리하는 사람들의 착한 심성과 이를 도둑질로 여기지 않았던 넉넉한 인심 때문에 가능했던 놀이의 하나였습니다.
'생활뉴스 톺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PLOMAT, 윤 대통령 탄핵 지연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 (4) | 2024.12.11 |
---|---|
강유정, 시민을 칼로 위협한 국민의힘은 당장 해체하십시오 (2) | 2024.12.10 |
민들레 유시민 칼럼 - 도로민정당 (2) | 2024.12.09 |
조국, 검찰은 내란죄 수사에서 당장 손 떼라! (0) | 2024.12.09 |
더불어민주당 김민석 최고위원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기자회견 전문 (4) | 2024.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