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태통로는 도로, 댐, 수중보, 하구언 등의 건설로 인해 야생동식물의 서식지가 단절되거나 훼손 및 파괴되는 것을 막고 야생동식물의 이동과 서식을 돕기 위해 인공적으로 설치되는 생태적 공간이다.생태통로는 생태계의 연속성 및 지속성 유지, 개발억제 효과 등의 역할을 하며조성위치에 따라 선형, 육교형, 터널형으로 구분됩니다. 국도 6호선 오대산 진고개의 생태통로 관련 6월 24일자 SBS 뉴스 보도를 보면지난해 다람쥐와 뱀 등 국립공원 도로에서 로드킬 당하는야생 동물 찻길 사고가 끊이지 않는 상황이었음을 알 수 있다. 야생동물들이 차에 치여 죽는 사고가 빈발했던 양쪽으로 끊긴 오대산 숲을 폭 30m 규모의 육교형 생태통로를 조성해 연결했더니야생동물의 흔적이 곳곳에서 포착되었다는 물개박수 치게 만드는..
지구를 걱정하다
2024. 7. 3. 22:4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시민언론 민들레
- 금요미식회
- 겸공 금요미식회
- 공공대출권
- 민들레 언론
- famous blue raincoat 가사
- 유시민
- 최승자 시집
- 장자
- 브라이언 클라스
-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 황동규
- 오곡밥의 효능
- 이준석
- 언론이 퍼뜨리는 정치적 독극물
- 이성복
- 라이너 마리아 릴케
- 잠민전
- 2025 정월대보름 날짜
- 오블완
- a형독감 b형독감 차이점
- 장 면역력
- ebs 위대한 수업
- 유시민 칼럼
- 최승자
- 조앤 윌리엄스
- 공대권
- 친위 쿠데타
- 티스토리챌린지
- 자유우파라는 이름의 망상의 공동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