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통보제는
출생신고 의무를 부모 외에 의료기관에도 부과하는 것으로
부모가 고의적으로 출생신고를 행하지 않음으로 인해
<유령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추진된 제도다.
2023년 경기도 수원의 아파트 냉장고에서
영아 시신 2구가 발견된 사건 포함,
출생신고 되지 않은 영아가 살해 및 유기되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제도 추진이 급물살을 타게 되었다.
의료기관장은 출생일로부터 14일 이내
심평원(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출생 정보를 통보해야 하며
지자체는 출생일로부터 한 달 이내 출생신고가 이행되지 않으면
모친 등 신고 의무자에게 7일 이내에
출생신고를 하도록 통지해야 한다.
만약, 부모가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법원 허가를 받아 직권으로 출생신고를 할 수 있다.
의료기관이 출생 통보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을 시
법안에 처벌 조항은 없다.
보호출산제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임신부가
익명으로 출산 및 출생신고가 가능하고
출산한 산모가 신원을 숨기더라도
지방자치단체가 아동의 출생신고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제도로
임신 및 출산으로 어려움을 겪는 여성을 보호하면서
아동에게도 안전한 양육환경을 보장하겠다는 취지로
도입이 추진된 제도이다.
2023년 10월 6일 국회에서
<위기 임신 및 보호출산 지원과 아동 보호에 대한 특별법>
제정안을 통과시키고
2024년 7월 19일부터 보호출산제가 시행되었다.
2023년 6월 출생통보제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그 보완책으로 제정된 법률로
출산통보제 시행으로 위기 상황에 처한 임신부가
병원 밖에서 출산한 뒤 유기하는 사례가
발생될 우려가 높아지면서 보완된 제정 법인 것이다.
보호출산을 신청하면
가명과 관리번호(주민등록번호 대체)가 생성되고
임산부는 가명과 관리번호를 이용해
의료기관에서 산전 검진 및 출산을 할 수 있다.
임산부는 보호출산으로 아이가 태어난 후
최소 7일간 아동을 직접 양육하는 숙려기간을 가져야 하고
7일 이후에는 지방자치단체에 아동을 인도할 수 있다.
생모는 보호출산 시,
자신의 이름, 보호출산을 선택하기까지의 상황 등을
작성해 남겨야 하며, 이 서류는 아동권리보장원에 영구 보존된다.
보호출산을 통해 태어난 아동은 성인이 된 후 또는
법정대리인 동의를 받아 이 서류의 공개를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서류는 생모의 동의를 전제로 공개되며
동의하지 않을 경우 인적사항을 제외하고 공개된다.
'생활뉴스 톺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 전용 향수 출시? 강아지가 좋아할까? (0) | 2024.08.16 |
---|---|
스타벅스의 사이렌 오더(Siren Order) 취소는 금물! (0) | 2024.07.21 |
고양이 밥도둑 민달팽이 퇴치를 위한 구리테이프 (1) | 2024.07.18 |
삶은 달걀은, 우리를 건강하게 만든다. (0) | 2024.07.17 |
텀블러 세척, 이렇게 하자! (0) | 2024.07.12 |